[E-의생명과학]의학/약학 > 의약학 일반>eCourses > 전체
총 24
( 1/3 페이지 )
건이 검색되었습니다.
정렬 :
테이블형
리스트형
10개씩
20개씩
30개씩
ⓝ
인터넷정보원 정보
URL
1
[미국] Celiac Disease and Gluten: Facts, Fiction & Controversies
UCSD의 Martin Kagnoff 교수와 Kimberly Newton 교수의 강의. 알레르기 질환의 일종인 셀리악병에 대한 글루텐의 영향에 대해서 다룸.
2
[미국] Computer-aided Drug Discovery for Infectious Diseases
캘리포니아대 Andrew McCammon 교수(Chemistry & Biochemistry)의 강의. 현대의 이론화학 및 컴퓨터화학이 새로운 약품의 발견에 기여하는 방법을 전염질병을 위한 약물을 중심으로 강의함.
3
[미국] Personalized Medicine and Drug Safety - Health Matters
UCSD의 David Granet 교수가 다양한 건강/의학관련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건강관련 토픽들에 대하여 토론
4
[미국] Pharmacology: Bugs and Drugs, Part 1
UCSF의 Marieke Kruidering Hall 교수(Department of Cellular & Molecular Pharmacology)의 강의. 약물치료에 대한 신체의 반응, 항생제의 작용, 반감효과를 가지는 항생물질 등에 대해 강의함.
5
[미국] Pharmacology: Bugs and Drugs, Part 2
UCSF의 Marieke Kruidering Hall 교수(Department of Cellular & Molecular Pharmacology)의 강의. 약물치료에 대한 신체의 반응, 항생제의 작용, 반감효과를 가지는 항생물질 등에 대해 강의함
6
[미국]Principle and Practice of Human Pathology
MIT의 Gary Tearney교수외 다수의 강사가 참여한 강의. 질병 매커니즘과 진단 의학의 관점에서 병리학에 대하여 개관.
7
[미국]Ubiquitination: The Proteasome and Human Disease
MIT의 Marta Rubio 교수(Biology Department)의 강의. 세포 내부의 조절 기능과 관련된 여러 단백질들의 분해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세포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을 ubiquitination system이라 하는데 그 중 proteasome에 의한 단백질 분해에 대하여 다룸.
8
[한국] 고급면역학 (김유미 ; 포항공과대학교)
포항공대 김유미 교수의 강의. 면역의 원리와 그 연구 방법들을 이해하고 생물학 중요 문제 해결을 위한 응용에 중점을 둠. 항원과 항체의 반응, 면역분석(Immunoassay), 면역글로블린의 구조와 작용, 면역 체계를 지배하는 유전자, 항체의 형성과정, 세포 면역(Cell-mediated immunity), 보체(Complement), 내성(Tolerance) 및 이식(Transplantation) 등에 원리와 단일 클론 항체의 생산 방법 및 응용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룸.
9
[한국] 고급병리학 (Priscilla Anne Furth ; 단국대학교)
단국대 Priscilla Anne Furth 교수의 강의. 인체에서 일어나는 각종 질병을 인체의 구조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함.
10
[한국] 내분비대사병학 (Robert A. Harris ; 경북대학교)
경북대 Robert A. Harris 교수의 강의. 탄수화물대사 및 물질대사의 연관성에 대하여 다룸.